IT 정보

에어컨 전기세 절약 방법 베스트5 제습 시스템 벽걸이 창문형 스탠드형 총정리

친절한 정보도우미 2024. 6. 22. 13:19
반응형

에어컨 전기세 절약 방법 베스트5 제습 시스템 벽걸이 창문형 스탠드형 총정리

 

에어컨 전기세 절약

 

 

안녕하세요, 가전도우미입니다.  

오늘은 에어컨 전기세 절약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매번 여름이 되면 항상 에어컨으로 인한 전기세 때문에 고민이 많은데요.  

이에 시스템 에어컨, 벽걸이 에어컨, 창문형 에어컨, 스탠드형 에어컨, 인버터 에어컨까지 다양한 에어컨들의 전기세 절약 온도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또한, 많은 분들이 모르시는 에어컨 제습 전기세에 대해서도 설명해 보겠습니다.

     

     

    에어컨 전기세 절약 온도

     

     

    - 기본적으로 일반 가정집에서는 온도가 낮을수록 전기세가 조금 더 많이 나옵니다.  

     그러나, 일반 가정들이 25~26도로 맞추기에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 다만, 공장이나 가정이 아닌 경우 적정 온도가 아닌 20도 이하로 한다면 상당히 전기세가 많이 나오게 됩니다.  

     보통 적정 온도에서 1도만 올려도 30% 정도의 에어컨 전기세 절약을 할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는 26도에서 28도를 적정 온도로 합니다.  

     하지만, 설치 기사님들이 말하는 절약 온도는 24도에서 26도라고 합니다.

    - 이 부분만 아셔도 에어컨 전기세 절약 온도를 잘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

     

     

    에어컨 제습 전기세

     

     

    - 기본적으로 에어컨 제습 전기세에 대해서 모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냉방이 아닌 제습 기능을 사용했기에 송풍과 같이 전기세와 무관하다고 생각하는데요.  

     결론부터 말하면 아닙니다.

    - 에어컨 제습 전기세도 에어컨 바람을 약하게 틀면서 습한 기운을 없애는 것이기에 결국 오래 틀면 에어컨 제습 전기세가 나옵니다.  

     이 점을 참고해 주세요.

     

     

    에어컨 전기세 절약 방법

     

     

    - 아주 오래전 에어컨을 구입한 것이 아니라면 인버터 에어컨 전기세 절약 방법은 간단합니다.

    - 온도를 설정한 후 그 온도가 내려가면 그때부터는 전기세가 많이 나오지 않습니다.

    - 처음에 온도를 빠르게 낮추기 위해 실외기가 돌아갈 때 전기세가 많이 나오고, 온도가 맞추어지면 그때부터는 전기세가 낮아집니다.

    - 그래서, 4-5시간 외출을 하더라도 그냥 틀고 나가는 것이 더 낫다는 말이 여기서 나왔습니다.

    - 중요한 것은 일반 가정집에서는 벽걸이 에어컨이든 시스템 에어컨이든 실외기가 얼마나 강하게 돌아가느냐에 따라 전기세가 달라집니다.  

     온도를 낮출 때 실외기가 돌아가기에 목표 온도가 맞추어지면 그때부터는 큰 걱정 안 하셔도 됩니다.

    - 어느 유튜버가 24시간 동안 한 달 내내 트는 것과 껐다 켰다를 반복하는 것을 비교한 결과, 인버터 에어컨 이후에는 껐다 켰다를 반복할 때 전기세가 많이 나옵니다.

     

     

    4인가구 전기세

     

    - 4인 가구가 인버터 에어컨을 하루 7시간 이상 켰을 때 전기세를 환산한 결과입니다.

     - 시스템 에어컨: 7만 원 후반에서 10만 원 정도

     - 스탠드형 에어컨: 한 달 전기료 6~7만 원 정도

     - 벽걸이 에어컨: 3만 원 더 내야 하는 걸로 추산

     - 최신 창문형 에어컨: 벽걸이 에어컨과 비슷

     

    - 특히, 무풍 기능이 있는 경우 더 전기세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에어컨 전기세 절약 방법 정리

     

     

    아래만 지켜주세요!

     

    1. 에어컨을 틀 때에는 절대로 껐다 켰다를 반복하지 않는다.

    2. 처음 강풍 또는 파워 냉방으로 하고, 선풍기가 있으면 같이 틀면 훨씬 빠르게 온도가 내려간다.

    3. 제습 기능도 결국은 에어컨의 실외기가 돌아가기에 전기세가 나온다.

    4. 뜨거운 점심 이후에는 창문에 커튼을 막아놓는다. 암막이면 더욱 좋다.

    5. 무풍 기능이 있다면 파워 냉방이나 어느 정도 온도가 맞으면 꼭 무풍을 사용한다. 필터는 2주마다 청소하면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

     

    지금까지 에어컨 전기세 절약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시스템 에어컨 전기세나 벽걸이 에어컨 전기세, 창문형 에어컨 전기세, 인버터 에어컨 전기세와 스탠드형 에어컨 전기세가 궁금했던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위의 5가지만 주의하셔도 전기세 걱정 없이 편안하게 보낼 수 있습니다.  

    안심하고, 무더운 여름 건강하게 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